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펀드.퇴직연금

[신한은행 오건영 팀장 에세이]220727

by sperantia 2022. 7. 30.

아침에 회의가 있는 관계로 아주 퀵하게 FOMC 관전 포인트 적어볼까 합니다. 

 

첫번째입니다. 우선 0.75%인지 1.0%인지에 대한 결과가 중요하겠죠. 물론 현재 0.75%의 가능성이 매우 매우 높아지기는 했습니다만 100bp 인상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도 있을텐데 여기에 대해 파월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도 중요할 듯 합니다. 

 

두번째는 중립금리죠. 이번에 75bp를 인상하며 미국의 기준금리는 단순에 2.25~2.5%가 됩니다. 파월 의장은 5월 FOMC에서 중립금리가 2~3%사이 넓은 영역 어딘가에 존재한다고 했었죠. 그리고 다른 위원들은 2.5%를 전후해서 존재할 것 같다는 얘기를 했던 바 있습니다. 이번에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일단 중립금리 언저리에 단숨에 오게 되는데요… 지난 6월 초에 시장을 환호하게 했던 이슈 중 하나가 중립금리까지 빠르게 인상한 이후에는 조금 천천히 상황을 지켜보자는 비둘기파들의 코멘트가 있었던 것 기억하실 겁니다. 이른 바 중립금리 존에 진입한 이후에도 기존과 같이 성큼성큼 기준금리 인상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힌트를 얻어볼 수 있겠죠. 

 

아마 기자회견 때 중립금리에 대한 질문과 함께 향후 어느 정도 속도로 기준금리를 인상할지에 대한 질문을 받게 될 겁니다. 지난 5월 회의에서는 50bp라고 말했다가 6월에 75bp를 인상해서 망신을 당했고… 6월에는 50~75bp사이에서 고민을 할 것 같다고 했는데 지금 시장은 75bp를 소화하고 있죠. 이번에는 중립금리 존에 도달할 이후 9월 FOMC에서 어떤 반응을 보일지가 관전포인트가 될 듯 합니다. 

 

세번째는 장단기 금리 역전에 대한 파월 의장의 인식입니다. 지난 6월 75bp인상 이후 장단기 금리가 제대로 역전이 되었죠. 이런 상황에서 75bp를 추가 인상했을 때 장단기 금리 역전폭이 더 깊어질 듯 합니다. 이렇게 장단기 금리 역전이 심화되면 특히 미국의 지역 은행들의 실적 악화… 그리고 이로 인한 지역 경제에 대한 유동성 공급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기준금리 인상을 빠르게 가져갔을 때 생기는 장단기 금리 역전을 무엇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여기서 양적긴축에 대한 힌트도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지켜보셨으면 합니다. 

 

네번째는 경기 침체에 대한 인식이죠. 2분기 GDP발표를 앞두고 있는데요… 현재 애틀랜타 연은의 GDP나우에서는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테크니컬리 경기 침체로 간주될 수 있는데요..(물론 이걸 침체라고 정의하기에는 상당한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이에 대해 옐런 재무장관이나 불라드는 침체 아니라고… 그렇게 방어치고 나왔었죠. 파월의 인식은 어떠한지도 봐야겠죠. 침체에 동의한다면 향후 기준금리 인상 속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다섯째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생각이죠. 시장에서는 인플레이션 고점론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연준의 생각을 들어봐야겠죠. 아마 인플레가 아니라 기대 인플레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을 것이구요… 인플레가 꺾이는 것 이상으로 꺾이는 그림이 확연해야 긴축을 풀 것임을… 70년대와 같은 Stop & Go를 기대하지는 말아야 한다는 얘기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긴축을 풀어서 시장을 환호하게 해줄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는 금융 시장에는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미국 이외 국가들의 상황입니다. 이들 국가들은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으로 인해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는데.. 얼마 전 옐런 재무장관이 달러에 대한 인식부터 시작해서 미국의 금리 인상이 미국 이외 국가들에게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코멘트를 했던 바 있죠. 유로존이나 일본 뿐 아니라 전세계 국가들이 힘겨워하는 것으로 봐서… 이들의 고통이 미국 성장에도 역풍으로 다가올 수 있는 바 중립금리 존까지 온 연준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엿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미국 이외 국가들의 상황이 악화되면 달러는 보다 강세를 기록할 수 있구요… 킹달러가 미국 경제에 현 상황에서는 그리 좋지 않을 수 있죠. 

 

이외에도 SLR규제에 대한 코멘트부터 시작해서 역 RP금리 조정 등 세세한 이슈들도 있는데요.. 이번 FOMC에서 다룰 정도는 아닐 듯 합니다. 이 정도로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