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부동산154

[신성철님]220406 2022년 중반부에 금리인상이 시작되지만 연말로 가면 더이상의 금리인상이 어려울 것이라 생각한 이유는 한단어로 말하자면 중립금리 때문이다. 사실 내가 중립금리라는 단어를 안것은 불과 몇년전인데, 처음 들었을때 그 단어가 무슨 의미인지 바로 알수가 있었다. 부동산 시장에서 꽤 오랫동안 붙잡고 있었던 개념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내 마음대로의 해석이지만 말이다. 부동산에도 중립금리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는 시장의 수익률과 상관이 있지만 꼭 수익률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종의 시장체력이나 감당 가능한 에너지수준이라고 생각을 하면 비슷할듯 하다. 하여간, 중립금리 수준이 낮은 상태에서 금리의 인상은 한계를 지닌다. 중립금리는 비용과 관련이 있기에 비용이 수익률을 넘어서게 되면 결국 수익률은 중립금리에 수렴을 하여서.. 2022. 4. 17.
부가가치세 신고내역 확인하는 법 지난 부가가치세 신고내역을 상세하게 확인하고 싶을때!! 홈택스 로그인 > 신고/납부 >세금신고 > 부가가치세 조회 두번째 탭 신고내역 조회 클릭 신고일자 및 사업자등록번호/주민등록번호 입력하고 조회하기 누르면 신고내역 리스트가 뜬다 2022.04.13 - [재테크/부동산] - 부가가치세 환급내역 확인하는 법 2022.04.14 - [재테크/부동산] - 오피스텔 중도금 대출 세금계산서 확인하는 법 2022. 4. 15.
오피스텔 중도금 대출 세금계산서 확인하는 법 오피스텔을 일반임대사업자로 분양받은 경우 중도금 대출이 실행될 때마다 세금계산서를 시행사에서 발행해 줌 홈택스에서 부가가치세 신고시 정기신고기간에는 '전사세금계산서 불러오기' 하면 자동으로 내역이 연결되는데 평소에도 내역을 다시 보고 싶을 때 아래 방법대로 하면 됨 홈택스 로그인 > 조회/발급 > 전사세금계산서 > 목록조회 > 월/분기별 목록조회로 들어감 매입으로 체크하고, 보기 편하게 반기별로 체크하고, 조회기간 입력하면 조회하기 누르면 내역이 뜨고 하단 스크롤바를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상세보기가 있음 상세보기 누르면 이런식으로 전자세금계산서 상세 조회가 가능하다~~ 2022.04.13 - [재테크/부동산] - 부가가치세 환급내역 확인하는 법 2022.04.15 - [재테크/부동산] - 부가가치세 신고내.. 2022. 4. 14.
부가가치세 환급내역 확인하는 법 오피스텔 계약시 일반임대사업자 낸 경우 부가가치세를 몇 번 환급받았는지 헷갈릴때 홈택스에서 확인 가능하다 홈택스 로그인 > 조회/발급 > 국세환급 환급금 상세조회 조회기간 입력하고 조회하기 누르면 전체 환급금 내역이 나오니 확인 가능하다~~ 내역이 많은 경우 엑셀 내려받기 하고 세목에 필터 걸어서 보면 됨 2022.04.14 - [재테크/부동산] - 오피스텔 중도금 대출 세금계산서 확인하는 법 2022.04.15 - [재테크/부동산] - 부가가치세 신고내역 확인하는 법 2022. 4. 13.
양도소득세 비과세 특례 2022. 3. 29.
2022년 부동산 절세 팁 해가 바뀌었다고 갑자기 벼락부자나 벼락거지가 되진 않는다. 하지만 부동산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이런 때일수록 달라진 세법에 관심을 기울여야 세금 ‘폭탄’을 피할 수 있다. ◆1가구 1주택 양도세 비과세 기준 금액이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완화됐다. 1가구 1주택 양도소득세(양도세) 비과세 대상이 기존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상향됐다. 지난해 12월 8일 소득세법 일부개정법률이 공포되면서 공포 시점부터 즉시 시행됐다. 개정 소득세법은 1가구 1주택자가 집을 팔 때 실거래 가격이 12억 원 이하면 비과세 혜택을 받는다. 12억 원 넘는 집을 매도한 경우 기존보다 높아진 비과세 기준에 따라 12억 원 초과분만 세금을 내면 돼 부담이 줄어든다. 세법 개정 전 집을 계약했으나 잔금일이 2021년 12월 .. 2022. 3. 25.
헷갈리는 일시적 1가구 2주택 정리 (각각의 케이스별로 정리) -기존주택 2년보유의무(비조정) 또는 2년 거주의무(조정) -A,B 취득간 텀이 1년이상 되어야함 A취득시: 비조정 ->1세대1주택 특례요건 : 2년보유 B취득시: B조정 / A 조정으로 승격 ->일시적2주택 특례요건: 1년내 A처분 B전입 A취득시: 조정 ->1세대1주택 특례요건: 2년거주 B취득시: B조정 / A조정 ->일시적2주택 특례요건: 1년내 A처분 B전입 A취득시: 비조정 ->1세대1주택 특례요건: 2년보유 B취득시: B조정 / A비조정 ->일시적2주택 특례요건: 3년내 A처분 A취득시: 조정 ->1세대1주택 특례요건: 2년거주 B취득시: B비조정 / A조정 ->일시적2주택 특례요건: 3년내 A처분 A취득시: 비조정 ->1세대1주택 특례요건: 2년보유 B계약시(분양.. 2022. 3. 17.
1세대 1주택 비과세 조건 (보유기간, 거주요건) 2022. 2. 14.
부린이가 꼭 알아될 DSR DSR 규제, 더 조인다 높아지는 대출 문턱 내년에 대출받을 계획 있는 사람이면 주목! 조건에 따라 돈 빌리기 더 어려워질지도 몰라요 💰🚫. 정부가 늘어나는 가계 빚 지켜보다 이대로 안 되겠다며 대책을 내놨거든요: “내년 1월부터 대출 고삐 좀 더 조이겠습니다.” 뭐야? 무슨 대책이야? DSR 규제를 좀 더 강하게 해서 대출 문턱을 지금보다 높이겠다는 거예요. 잠깐, DSR?: 매년 버는 돈(=소득)에서 갚아야 할 돈+이자(=원리금)가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나타낸 비율인데요. DSR 규제란 이 비율에 한계를 정해 놓겠다는 건데요. ‘갚을 수 있는 만큼만 돈을 빌려준다’는 게 핵심이에요. 이건 빼고: 모든 대출이 규제받는 건 아니에요. 전세대출, 300만 원 이하의 신용대출, 햇살론과 같은 서민 대상 대출 .. 2022. 1. 23.
투자자분들이 꼭 알아될 DSR 21년 1월1일 이후 대출받아서 집 매수하시려는 분들은 미리 계산을 잘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21년 1월1일 이후 대출총액 2억 이상일때, 내년 7월1일 이후부터는 대출총액 1억 이상일때 DSR 40% 적용됨. DSR 40%일 경우 연봉 3000만원: 연간 1200만원까지 대출상환가능 (월 100만원) 연봉 4000만원: 연간 1600만원까지 대출상환가능 (월 133만원) 연봉 5000만원: 연간 2000만원까지 대출상환가능 (월 166만원) 연봉 6000만원: 연간 2400만원까지 대출상환가능 (월 200만원) 연봉 7000만원: 연간 2800만원까지 대출상환가능 (월 233만원) 연봉 8000만원: 연간 3200만원까지 대출상환가능 (월 266만원) 연봉 9000만원: 연간 3600만원까지 대출.. 2022. 1. 22.
21년부터 시행되는 차주별 DSR 관련 요약 1. 지금까지는 금융사별 DSR 구분 EX) 1금융은 DSR 70이내, 2금융은 120 ~ 200 등 제각각 2. 내년에는 어떤 조건에 부합이 되는 차주에 한해 1금융은 DSR 40, 2금융은 60으로(내년에는 50) 변경 3. 본인이 어떤 조건에 해당하는지 알아야 할 필요성 - 1단계 : 투기/투과에 9억원 넘는 집을 가지고 대출 받을때 적용 *2019년 12월 16일 시행 - 2단계 : 조정지역 이상 집에 6억 이상 집을 갖고 대출 받을때 적용 *2021년 7월 1일 시행 - 3단계 : 대출액 합계 2억원 이상 *2022년 1월 시행 - 4단계 : 대출액 합계 1억원 이상 *2022년 7월 시행 예상 4. 예시를 들어 설명 - 19년 10월에 모집공고가 난 서울 아파트(입주시 시세 13억원) *해당 .. 2022. 1. 21.
부동산 정보 사이트 총정리 호갱노노,아실,네이버부동산: 아파트 시세 알고 싶을때 -다윈중개: 반값 수수료, 재건축 사업성, 대지지분 정보 - 부동산지인: 부동산 공급량, 빅데이터 기반 아파트 정보 - 벨류맵: 토지가격 시세 알아볼때, 다가구 시세조사 참고용 -벨류쇼핑: 부동산 가격 기본정보, 가격산정시스템 - 디스코: 토지가격 알고 싶을때 - 한국감정원: 청약정보, 부동산정보,통계 -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실거래가, 개별공시지가 - 루리스: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 전국은행연합회: 은행 대출 시 두루 볼때 - KB부동산 Live on : 부동산 시세 알아볼때 - 엑스레이맵: 유동인구 분석 -랜드북: 지역분석 , 신축개발 검토 가능, 용적률 계산 가능 - 네이버 로드뷰 : 연도별 길거리 보기 - 카카오맵/스카이뷰 : 연도.. 2022. 1. 16.
주택 재산세율 2022. 1. 14.
청약통장 종류 2022. 1. 13.
양도소득세 보유기간 및 다주택자 세율 2022. 1. 13.
양도소득세 과세표준 구간 신설 및 최고세율 인상 장기보유특별공제 거주요건 추가 2022. 1. 12.
일반 공급 및 특별 공급(신혼부부, 생애최초, 기관추천, 노부모, 다자녀)가점 기준 2022. 1. 12.
신혼부부 특별공급 소득기준 완화 2022. 1. 11.
분양가 상한체 적용 지역 전매제한 기간 2022. 1. 11.
분양가 상한제 주택 거주 의무 기간 2022. 1. 10.
조정대상 지역 투기과열 지구 차이 2022. 1. 10.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 기준 2022. 1. 9.
2월 4일 부동산 공급대책 주요내용 2022. 1. 9.
국세와 지방세 구분 2022.01.08 - [재테크/부동산] - 국세와 지방세 주택수 포함 제외 비교 2022. 1. 8.
국세와 지방세 주택수 포함 제외 비교 2022.01.08 - [재테크/부동산] - 국세와 지방세 구분 2022. 1. 8.
주거형태에 따른 관련법과 세금 2022. 1. 7.
보유기간별 양도소득세 비과세 대상 2022. 1. 7.